경기 결과에 충격 먹은 것이 아니라, 치치파스의 표정과 제스처를 보고 충격 받았다. 내가 알던 치치파스는
위 영상에서 보듯 이따금 사소한 자극에도 발작적으로 반응하는 신경질적인 사람이었는데, 이번 경기에서 그 낌새를 거의 느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번 경기 뿐만 아니라 코키나키스와의 경기에서도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아서 치치파스가 성격적인 측면에서 많이 바뀌었음을 느꼈다. 성격을 완전 개조한 것일까, 아니면 경기시간 동안만이라도 감정을 일시적으로 외면하거나 인내하는 방법을 터득한 것일까? 한가지 확실한 점은, (부정적인) 감정 분출이 경기 운영에 도움이 안 된다는 사실을 치치파스가 깨달았다는 것이다.
조코비치와 즈베레프는 이번 호주오픈에서도 라켓 참교육을 시전하였고 (링크1, 링크2), 스탠 바브린카도 2R에서 실망감을 라켓으로 표현하였다 (영상의 9분 22초대). 테니스 경기를 지켜본 지 4년이 넘어가는 동안 짜증을 내던 선수들은 여전히, 아직도 히스테리를 부리고 있다. 그런데 이 그리스 장발 원핸더는 2019년 호주오픈에서 페더러를 이긴 이후 약 1,2년간 거친 언행과 불안한 눈빛을 숨기지 않고 보여주더니, 갑자기 잠잠해졌다. 다혈질적으로 흥분하는 태도가 경기에 도움이 안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그 깨달음을 실천에 옮겼다. 깨달은 건 둘째 치고, 흥분을 가라앉히는 데 성공하다니.. 그것도 이제 20대 초반에 접어든 신인 선수가.
쿠크다스 멘탈 보유자로서, 치치파스의 이번경기 press conference는 꼭 봐야겠다. 방금 올라온 on-court interview를 보니 짐 쿠리에도 치치파스의 멘탈 강화가 인상 깊었는지 재차 묻고 있다.
세번째 세트 이후에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저도 잘 모르겠어요. 저는 작은새처럼 날라다녔고 모든게 풀리기 시작했어요. 지금 감정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감정을 일정히 유지하기로 결심하고 경기에 임했는지에 대해) 네, 오늘 그러려고 많이 노력했습니다.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제가 몇몇 경기에서는 그러지 못했지만요.. 감정 기복을 줄이고 중요한 순간에 침착했던 것이 오늘 경기에서 이길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시간으로 금요일 오후 5:30에 치치파스는 메드베데프를 상대로 경기를 치룬다. 2018년 경기에서 두 선수 간 해프닝이 있었는데 (bullsh*t russian), 이번 경기는 그래서인지 경기내용보다는 두 선수간 악수가 어떨지에 더 관심이 간다. (?)
'미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호주오픈 SF] 메드베데프-치치파스 戰: 애썼다.. (0) | 2021.02.19 |
---|---|
위로가 되는 말들-Justine Henin (0) | 2021.02.18 |
2021 호주오픈 이모저모 (0) | 2021.02.12 |
[2021 호주오픈 2R] 치치파스-코키나키스 戰을 봄 (0) | 2021.02.11 |
반전이 많았던 Italian Open (feat. 나달을 이긴 슈워츠먼)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