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상상하기 어렵지만 예전에 잠실은 섬이었다. 
-『강남의 탄생』, p. 120

 

이 한 문장을 읽고 충격을 받아 『강남의 탄생』을 여러장 뒤적거렸지만 지도를 찾지 못했다. 인터넷에서 찾은 자료로 보완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해본다. 

<개발전 (1963년)>

  • 1960년대 당시 한강은 광진교를 기점으로 북쪽 신천강남쪽 송파강으로 갈라졌음
  • 당시 실질적인 물줄기는 송파강이었고, 신천강은 한강 범람 등으로 일시적으로 생기고 사라지곤 했음.
  • 그래서 『강남의 탄생』 저자가 잠실섬이 40여년 전에는 강남이 아니라 강북에 가깝다고 한 듯
  • 잠실도 (약 360만평)와 부리도 (약 30만평)는 신천강송파강 사이에 있던 섬
  • 1960년대 초 잠실도에 거주하는 세대수 (56가구 383명)는 많지 않았으며, 자주 수해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보임.

 

1965년 12월 25일자 경향신문 (사진 클릭시 이동)

 

<개발뒤 (1978년)>

  • 1962년 제정된 공유수면매립법에 따라 한강변에 여러 공유수면 매립공사가 진행되었으며, 잠실도 그 결과물 중 하나
  • 1971년 한강 개발 사업에서 잠실섬 남쪽의 송파강을 메우고 북쪽의 신천강을 넓혀주는 작업 진행.
  • 한때 건천이었던 신천강이 한강 본류가 되고, 송파강은 석촌호수 정도만 남기고 메워졌음. 

 

매립공사 이전에 진행된 물막이공사가 제대로 허가받지 않았다는 등, 다른 디테일은 많지만 일단 생략하겠다. 지형 변화를 이해해보겠다고 한겨레 기사에 나온 지도를 따라 그렸더니 시간이 좀 지났기 때문에..

 

석촌호수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구나! 원래 송파강의 일부였구나.. 신기하다.

 

<참고자료>

  1. 『강남의 탄생』, 강희용,한종수 著 → 흥미를 굉장히 유발하는 문장을 던져주었지만 지도 없이 워딩으로만 설명해서 지형변화를 이해하기 어려웠다.
  2. '뽕밭이 ‘콘크리트숲’ 으로', 한겨레, 2005.02.13 (링크) → 본 포스팅에 첨부한 지도는 이 기사에 나온 지도를 보고 따라 그린 것이다.. 『강남의 탄생』의 잠실 내용도 이 기사를 많이 따다 쓴 것 같다.
  3. 서울속의 落島 蠶室마을 딱한事情, 경향신문, 1965.12.25 (링크) → 개발이 시작되기 전 잠실이 문명의 이기로부터 떨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 [서울 만들기] 17. 공유수면 매립, 중앙일보, 2003.09.25 (링크) → 공유수면 매립은 잠실에 대해서만 진행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던 기사.

 

 

 

728x90

 

2021.01.30 - [도서] - [서평] 강남의 탄생 (대한민국의 심장 도시는 어떻게 태어났는가?)

 

[서평] 강남의 탄생 (대한민국의 심장 도시는 어떻게 태어났는가?)

이 책은 1년 가까이 붙들고 있었는데 다행히도 어제 다 읽었다. 끝마무리 짓기 힘들어하는 나로선 완독했다는 사실 자체가 기쁘다. 삼천포로 잘 빠지는 성격인지라, 턴키 방식, 체비지와 같이 모

dotswillbeconnected.tistory.com

2020.04.12 - [도서] - [읽는중] 강남의 탄생 - ① 아쿠아아트 육교

 

[읽는중] 강남의 탄생 - ① 아쿠아아트 육교

나는 심각한 난독증에 시달리고 있어서, 언제 샀는지도 기억이 안 나는 '강남의 탄생' (한종수, 강희용 저)를 몇달째 끌어안고 있다. The Screwtape Letters와 함께 진도가 안 나가는 책 중 하나이다. 언

dotswillbeconnected.tistory.com

 

'미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은 분명 말하고 있다  (0) 2021.06.05
going uphill  (0) 2021.05.23
순수한 행위에 대한 단상 1  (0) 2021.05.13
망망대해에 띄우는 유리병 편지  (0) 2021.03.28
하루하루 견뎌내는 삶  (0) 2021.03.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