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내가 무언가를 더 하기 위해 4시 30분에 일어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나에게 새벽은 극한으로 치닫는 시간이 아니라 잠시 충전하는 휴식 시간이다. 즉, 새벽 기상은 그 자체로 열심히 사는 방법이라기보다 계속 열심히 살기 위한 수단이다. 너무 힘들고 지칠 때 고요한 새벽에 따듯한 차를 마시며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면 에너지가 채워진다. 불안하고 우울할 때도 마찬가지로 이른 아침 나만의 시간을 통해 안정감을 찾는다. (Chapter "나에게 새벽은 휴식이다")
가끔 이 루틴에 실패하더라도 자책하거나 남은 하루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Chapter "새벽은 내가 주도하는 시간", 재인용 문구)
일을 하느니 차라리 잠을 택하겠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직장인이라면 대부분 일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는 피하고 미룬다고 해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공감할 것이다. 이렇게 업무가 한꺼번에 몰리거나 잘해내야 한다는 압박을 받을 때 새벽에 미리 일을 시작하는 게 큰 도움이 된다. 회사가 아닌 안락한 공간에서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며 편안하게 업무를 처리하면 능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즐겁게 일할 수 있다. (Chapter "밀린 일 처리하기")
물론 각자의 학습 스타일과 생활 패턴에 맞게 공부하는 게 중요하겠지만, 평소 공부할 시간이 부족하다면 새벽 기상만큼 효과적인 해결 방법은 없다. 저녁에는 이미 지친 상태여서 '회사만 아니면 공부를 더 할 수 있을 텐데…’ 같은 생각에 기운이 빠지는 반면, 새벽에 무언가를 공부하고 일과를 시작하면 학업 또는 회사 일과 다른 공부를 동시에 해내는 자신이 대견스러워 자신감이 높아진다. (Chapter "새벽 공부의 놀라운 힘")
나중에 낮잠을 잔다고 해도 지금은 일어나는 것이 우선이다. (Chapter "새벽에 일어나서, 나만을 위한 순간")
내용이 반복되고 아침시간에만 값진 일을 할 수 있다는 것마냥 일반화한다는 평이 더러 있던데, 나에게는 하루의 주도성을 회복하게 해준 고마운 책이다.
나는 밥 대신 잠을 택하는 인간이었고, 끊이지 않는 고민에 대책없이 야근하다 다음날에도 컨디션 난조로 고생하곤 했다. 저자의 본 의도는, 그저 현생에 치인 사람들에게 부드러운 어조로 생에 대한 설레임을 일깨워주고자 함이 아니었을까. 본인에게는 새벽에 일어나는 것이 제일 효과적이었던터라 권하고 싶었을 뿐이고.
이 책을 접하고, (4시 30분에 일어나지는 않지만) 예전보다 한두시간 일찍 깨서 강의를 듣거나, 책을 읽거나, 하다못해 미리 일을 시작하고 마음을 가다듬을 여유를 가지게 되었다. 조금은 제정신으로 하루를 살아가게 되었다는 점에서 나는 이 책이 세상에 나와주어서 고맙다.
여기까지는 세상적인 관점에서 풀어낸 것이고, 김유진 변호사 간증 영상을 보면 그녀는 새벽시간을 하나님과의 교제로 채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 목표, 내 계획, 내 욕망이 아닌, 하나님의 부르심과 인도하심에 귀 기울이는 것으로 시작한 하루는 얼마나 귀할지 되돌아 보게 된다. 세상으로부터 오는 소음은 나의 마음을 조급하게 하지만, 주님이 원하시는 바를 잘 분별하고 따라간다면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주님은 나의 성공도 주님의 계획을 위해 쓰시고, 나의 실패도 사용하신다. 하루에 눈을 뜰 때 이 사실을 계속 떠올리자.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획과 거리가 먼 사람들에게, 책 두 권을 추천 드립니다 (약한 연결; 아무튼, 메모) (0) | 2023.10.21 |
---|---|
[서평]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룰루 밀러 著 (0) | 2022.04.16 |
[서평] 자기 앞의 생, 에밀 아자르 (0) | 2021.09.14 |
[서평] 상관없는 거 아닌가?, 장기하 (0) | 2021.04.24 |
[서평] 지적 생활의 즐거움, P.G. 해머튼 (공부왕찐천재, 수험생활에 대한 소고) (0) | 2021.03.07 |